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갯바위 낚시 좋아하는 분들은 이번 뉴스 꼭 보시기 바랍니다.<br> <br> 사고가 속출하는데 지켜야 할 수칙이 많습니다.<br> <br> 현장카메라 홍진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바다 낚시를 즐기러 갯바위를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. 그런데 해마다 안전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는데요.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<br>해경 대원이 다급히 바다로 뛰어듭니다. <br> <br>갯바위에서 추락한 낚시객이 의식을 잃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겁니다. <br><br>거친 파도가 치는 또다른 갯바위. <br> <br>낚시객이 위태롭게 서있습니다. <br> <br>물이 차오르는지 모르고 낚시에 몰두하다 고립된 겁니다. <br> <br>구명조끼는 입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요구조자. 구출 중에 있음." <br> <br>갯바위는 대부분 절벽에 있고, 표면이 미끄러워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합니다. <br><br>최근 3년 간 전국 연안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중 22%가 갯바위에서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사망자도 43명이나 됩니다.<br> <br>올해도 갯바위에서 45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7명이 숨졌습니다. <br><br>갯바위 위에서는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어야 하는데요. 위반시에는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를 낼 수 있습니다.<br> <br>제대로 지켜질까. 해경 단속 현장에 동행했습니다. <br> <br>갯바위를 따라 낚싯대를 드리운 낚시객들. <br> <br>상당수는 구명조끼를 입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해경 단속반이 다가서자 모른척 짐을 챙겨 가려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갯바위 낚시객들은 구명조끼 등 개인 안전 장구류 착용하시고 안전 낚시 활동 바라겠습니다." <br> <br>또 다른 갯바위. <br> <br>몸이 휘청거릴 정도로 바닷 바람이 거세지만 대부분 구명조끼를 입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갯바위 낚시객] <br>"귀찮죠. 아무래도 챙겨 입으려면. 겨울에는 상관없는데 여름에는 좀 더워요. 조끼가." <br> <br>단속도 반쪽에 그칩니다. <br> <br>갯바위에 배를 타고 가면 구명조끼 착용이 의무지만, 육지와 연결된 갯바위에 걸어들어가면 단속 대상에서 빠집니다. <br> <br>도보로 왔는지, 배를 타고 왔는지 일일이 확인하는 것도 일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걸어 들어오셨어요? 선생님 성함하고 핸드폰 번호 좀 불러주세요." <br> <br>[갯바위 낚시객] <br>"도보로 내려오면 낚시터가 아니라 앞마당인데 (구명조끼) 필요가 없겠죠." <br> <br>낚시꾼들 민원이 많다보니 과태료 부과는 엄두도 못내고, 계도 수준에 그칩니다. <br> <br>[장호석 / 통영해경 장승포파출소] <br>"나는 입고 있는데 (걸어온)저 분들은 안 입어도 된다는 법 때문에 입으신 분들이 나는 입고 있는데 저 분들은 안 입고 있느냐부터 해서 민원을 많이 넣고 있습니다." <br> <br>갯바위 낚시는 홀로 외진 곳을 찾는 경우가 많다보니 자칫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차에 오를 때 당연히 안전띠를 매듯 갯바위에 오를 땐 구명조끼를 입는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홍진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덕룡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br /><br /><br />홍진우 기자 jinu0322@donga.com